쌀뜨물 발효액을 만들어 놓고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았다.
의도한건 아니고 물 줄때 줘야 하는데 까먹고 물만 주고 그러다보니 오래되었다.
그래도 흔들면 가스가 조금씩이나마 나오는 상태라서 그런지 향긋함은 약간 줄었지만 막걸리 향과 탄산은 유지되고 있었다.
아레카야자는 아직 두고봐야 할 것 같아서 물만 주었고 아스파라거스와 동백 상추씨 뿌려 놓은 포트에 주고도 남은 약간의 쌀뜨물을 부직포 화분에 심은 블루베리에 줬다.
500 화분에 심은 아레카야자 각 500~550 밀리 정도 줬다.
조절하느라 화분에 주는 물 양을 좀 줄여서 그런지 모르겠지만 이렇게 빨리 겉 흙이 말라도 되나 싶게 물 마르는 간격이 짧아지는것 같다.
이런 정도면 여름에는 아침 저녁으로 줘야 하는거 아닌가 싶기도 하다.
아스파라거스의 겉 흙이 거의 말랐기에 물 3리터쯤 주고 쌀뜨물 700~850 밀리쯤 줬다.
3리터준 직후에 부직포 아랫부분을 만졌는데 축축했다.
겉 흙이 말랐지만 물이 부족하지 않았던것인지 아랫쪽까지 물이 빨리 흡수된건지는 약간 애매하다.
시간이 지나도 외부에 물이 흐르지는 않는 것 같아서 원래 아랫쪽이 축축했던것이 아닌가 추측만 해 본다.
동백은 충분히 마르지 않았지만 남는 쌀뜨물을 쓰느라 줬다.
대충 200 밀리쯤?
약간 이래도 되나 라는 느낌은 있지만 설마 죽기야 하겠어.
행운목을 제목에 남겼지만 적지 않고도 몇번 물을 줬다.
뿌리도 없고 잎도 없어서 흙이 좀 말랐다 싶으면 나무 주위로만 소량씩 자주 주고 있다.
맞는 방법인지는 모르겠지만 그냥.. 이렇게 줘 보련다.
물 주는 횟수가 잦기 때문에 뿌리가 나온게 확인되기 전까지는 기록을 남기지 말아야겠다.
일기 예보상 온도를 보면 아직 상추씨가 발아되기엔 좀 멀은것 같지만 심은지 오래되었는데 씨앗의 문제인지 발아점이 안되서 그런지 확신은 없다.
깻잎이랑 같은 해에 산 적상추 안 뜯은게 있는데 발아 실패하면 그냥 다 뿌려놓고 발아 되는게 나오나 봐야겠다.
아레카야자, 블루베리(선샤인) 삽목, 상추와 레몬씨 발아된것에도 수시로 분무를 하고 있다.
약간 과하다 싶은 느낌이지만 흥건한 느낌이 들도록 뿌려주고 있다.
아직까진 큰 문제는 없는듯.
'물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6년 3월 24일 - 아스파라거스(아레카야자는 거들뿐) (0) | 2016.03.25 |
---|---|
2016년 3월 23일 - 아레카야자 (0) | 2016.03.23 |
2016년 3월 18일 - 아레카야자, 동백, 행운목 (0) | 2016.03.18 |
2016년 3월 15일 - 블루베리, 아스파라거스, 동백, 행운목 (0) | 2016.03.15 |
2016년 3월 12일 - 아레카야자 (0) | 2016.03.12 |